Embedded Linux

make와 makefile

작성자 임베디드코리아 작성일24-11-29 22:11 조회663회 댓글0건
1. Make란?
◆ make 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빌드 도구이다.
◆ make 명령어는 Unix/Linux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명령어이다.
◆ 파일관리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이다.
◆  Makefile이라는 파일을 참조하여 컴파일러에 명령을 전달하며, makefile에 기술된 Shell명령어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한다.
◆ make명령어는 makefile(기술파일)에 프로그래머 또는 사용자가 기술해 놓은 명령어를 컴파일러에게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한다.
◆ gcc 명령어등의 컴파일러 명령어를 Makefile에 기술해 놓으면 make 명령어를 사용해서 여러 단계의 컴파일 과정을 한번에 진행할 수 있다.

2. Makefile
◆ Makefile 은 프로그램을 빌드하기 위해 make 문법에 맞춰 작성하는 문서이다.
◆ Make 명령어로 실행할 명령들을 기술해 놓은 파일이다.
◆ 목적파일과 재료파일, 명령어와 매크로가 기술되어 있다.
◆ makefile에 기술된 내용으로 make 명령어는 컴파일을 할 수도 파일이나 폴더를 생성할 수도, 지울 수도 있다.
◆ make 파일의 기본 구조
  - 목적파일(Target) : 명령어가 수행되어 나온 결과를 저장할 파일
  - 의존성(Dependency) : 목적파일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
  - 명령어(Command) : 실행 되어야 할 명령어들
  - 매크로(macro) : 코드를 단순화 시키기 위한 방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