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mbedded Linux

Ubuntu 설치하기

작성자 임베디드코리아 작성일24-11-29 22:31 조회635회 댓글0건
<* Virtual Box 에서 Ubuntu 설치하기 *>
1. 가상 컴퓨터 만들기
  [ 1 ] 설정 버튼 클릭 : 설치 할 OS의 ios 파일을 선택한다.
        ▶ VirtualBox 실행 ---> "설정"을 선택
        ▶ 설정 화면이 나타난다.
              - -> 저장소 --> 컨트롤러 : IDE _--->  비어 있음 ---> IED 세컴더리 마스터 ----> 가상 광학 디스크 선택/만득기
              ---> ubuntu 이미지 파일을 선택 함

    [ 2 ] 저장소에 이미지가 생성된 것을 확인 후 상단에 보이는 시작(T) 버튼을 클릭하여
            가상 컴퓨터을 시작한다.

2. PC 부팅 후 Ubuntu 설치하기
    [ 1 ] ubuntu 설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텍스트 화면이 나타난다.
            ▶ 키보드 방향키로 "Try or Install Ubuntu" 선택 > 엔터 

    [ 2 ] "Welcome "화면에서 설할 언어를 선택하고 [Install Ubuntu] 를 클릭한다.
            "English" 선택 > "Install Ubuntu" 클릭

   [ 3 ]  "Keyboard layout" 화면에서 키보드 레이아웃을 선택하고 오른쪽 [Continue] 버튼을 클릭한다.
              아무것도 안하고---> "Continue" 클릭

    [ 4 ]  "Wireless" 화면에서  무선인터넷을 접속할지 여부를 선택하고 [Continue]를 클릭한다.
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[ 5 ] "Updates and other software" 화면에서 소프트웨어 및 기타 소프트웨어서 일반 설치, 최소 설치로 선택 가능하고,
              기타 설정을 체크하고  [Continue] 버튼을 클릭한다.
              --> Normal Installation 선택 ---> Continue 틀릭

    [ 6 ] "Installation type" 화면에서 설치 형식 화면에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운영체제(OS)가 있을 경우 선택이 가능하고,
            설치 디스크에 운영체제(OS)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우분투(Ubuntu)로 선택하고 [Continue]를 클릭하여 설치 진행한다.
            ◆ 파티션을 나누어 설치하기 위해서는 "Something else" 선택 한다.
                ---->" Something else" 선택  ----> Continue 클릭
    [ 7 ] 파티션 나누기
            ◎ dev/sda와 같은 이름의 저장소를 볼 수 있다.
            ◎ 파티션을 처음부터 다시 나누고 싶다면 "New Parition Table..."을 선택한다.
                ▷ 모든 디스크 영역이 free space로 바뀌게 된다.
                ▷ 이미 있는 파티션을 수정하여 새 파티션을 만들 수도 있다.

        **** 참고: /dev/sda의 의미 ****
        * /dev/는 device의 약자로 Unix에서 모든 장치 파일을 담고 있는 디렉터리 이다.
        * Unix는 접근 가능한 모든 것을 읽고 쓸 수 있는 파일로 취급한다.
        * sd는 SCSI device라는 이다.
            - SCSI는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의 약자로 하드 디스크 등 주변기기와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이다.
            -  이후 sd는 데이터를 담는 모든 장치를 뜻하는 용어로 쓰이게 되었다.
        * sda, sdb, sdc 등으로 장치를 구분합니다.

      (1)  Swap 파티션
            "+" 를 클릭하면 "Create partition" 화면이 나타난다.
            ☞ Size : 2048 MB
            ☞ Type for the new partition : Logicl  선택
            ☞ Use as : swap area  선택
          --->  선택하고 "OK"를 클릭 한다.

        ***** Swap 파티션 *********
        *  Swap 파티션은 메모리가 부족하거나 컴퓨터가 잠자기 모드일 때 메모리 페이지를 담는 파티션 이다.
            -  사용성을 위해 Swap 파티션을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.
        * Swap 파티션의 크기는 메인 메모리 크기보다 커야 잠자기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.
        * Swap 파티션의 위치는 디스크의 끝에 둘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속도가 느려진다.

      (3)  Root 파티션
          ◎ 루트 파일 시스템 /을 위한 파티션을 만든다.
          ◎ 이 곳에는 커널, 부트 파일, 시스템 파일, 커멘드 라인 유틸리티, 라이브러리, 시스템 설정과 로그 파일 등이 들어간다.
          ◎ 보통 10 ~ 20GB면 충분하지만 도커 이미지가 디폴트로 시스템 영역에 저장되기 때문에 저는 첨부된 사진보다 더 큰 영역을 할당했다.
          ◎ Root 파티션을 생성할 때 제가 쓴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다.
              ▷  Type for the new partition: Primary
              ▷  Location for the new partition: Beginning of this space
              ▷  Used as: Ext4 journaling file system
              ▷  Mount point: /

    [ 7 ]  "Where are you?" 화면에서 거주하고 있는 지역을 선택하고 [Continue] 버튼을 클릭한다.
            --->  "Seoul" 선택 ----> "Continue" 큭릭

    [ 8 ]  "Who are you?" 화면에서 이름, 컴퓨터 이름, 사용자 이름 선택, 암호 선택, 암호 확인을 작성하고 [Continue] 버튼을 클릭 한다.
              ▷ Your name : glory
              ▷ Your compuer's name : GLORY
              ▷  Pick a username : glory
              ▷  Choose a password : 1234
              ▷  Confirm your password : 1234
            ---> " Require my password to login 선택"
          완료 후 "Continue" 틀릭

    [ 9 ]  설치 화면에서 진행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다.
              --> 진행이 완료되면 재부팅하여 사용하시면 설치가 마무리 된다.